학사안내

편성교과목

교과 과정 검색 조건
교과과정
학년/학기 이수구분 교과목번호 교과목명 학점 강의 실습(설계) 교과목개요
1/1학기 전선 4145004
CAD (Computer Aided Design)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04
  • 교과목명 : CAD (Computer Aided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와이어프레임 모델, 면 모델, 솔리드 모델의 구성의 기본이론을 학습하고, 솔리드윅스 실습을 통해 메카트로닉스 부품을 직접 설계하는 기초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Students learn the basic theories of wireframe, face and solid modeling, and develop basic ability to design mechanical/mechatronic components through Solidworks practic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와이어프레임 모델, 면 모델, 솔리드 모델의 구성의 기본이론을 학습하고, 솔리드윅스 실습을 통해 메카트로닉스 부품을 직접 설계하는 기초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Students learn the basic theories of wireframe, face and solid modeling, and develop basic ability to design mechanical/mechatronic components through Solidworks practices.

닫기
1/1학기 전선 4145991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년/학기 : 1/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991
  • 교과목명 : 진로탐색과꿈-설계 (Career Plan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진로탐색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으로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진로목표를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룬다.

    • English

      Career exploration and dream-design is a curriculum that concerns and explores careers within my chosen major. The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major and finding, setting and preparing career goals for the major.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진로탐색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으로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진로목표를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룬다.

  • English

    Career exploration and dream-design is a curriculum that concerns and explores careers within my chosen major. The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 major and finding, setting and preparing career goals for the major.

닫기
1/2학기 전선 4145014
정역학 (Statics)
  • 학년/학기 : 1/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14
  • 교과목명 : 정역학 (Stat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역학의 첫 과정인 정역학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논리적인 방법으로 문제 해결에 응용하는 능력을 개발하여 앞으로 배우게 될 주요 역학과목들에 대한 기반 지식을 얻는 데 그 목표를 둔다. 힘과 모멘트, 합력, 자유물체도 및 정적 평형에 관한 기초개념을 바탕으로 구조물의 정적 평형을 포함한 다양한 응용문제를 다루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운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get a basic knowledge of the main mechanics subjects that will be learned in the future by understanding the basic principles of statics, the first course of mechanics, and developing the ability to apply them to problem solving in a logical way. Based on the concepts of force, moment, resultant, free body diagram and static equilibrium, students can deal with and solve various application problems including the static equilibrium of structur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역학의 첫 과정인 정역학의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논리적인 방법으로 문제 해결에 응용하는 능력을 개발하여 앞으로 배우게 될 주요 역학과목들에 대한 기반 지식을 얻는 데 그 목표를 둔다. 힘과 모멘트, 합력, 자유물체도 및 정적 평형에 관한 기초개념을 바탕으로 구조물의 정적 평형을 포함한 다양한 응용문제를 다루고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운다.

  • English

    This course aims to get a basic knowledge of the main mechanics subjects that will be learned in the future by understanding the basic principles of statics, the first course of mechanics, and developing the ability to apply them to problem solving in a logical way. Based on the concepts of force, moment, resultant, free body diagram and static equilibrium, students can deal with and solve various application problems including the static equilibrium of structures.

닫기
2/1학기 전선 4145011
창의도전설계 (Adventure Design)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11
  • 교과목명 : 창의도전설계 (Adventure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0-(3)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3인 이상의 수강생들이 팀을 이루어서 주어진 주제에 대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창출된 아이디어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프로젝트형 교과목이다. 설계, 제작 등의 실습과정을 통해서 창의력, 종합분석력, 현장적응능력 및 공학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며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한다. 토론과 발표를 통하여 공학적 의사전달을 훈련하며 공동제작 및 경기대회를 통하여 협동능력과 학습의욕 및 공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킨다.

    • English

      This is a project-based course where three or more students team up to derive creative ideas on a given topic, and to prototype the ideas. Students will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creativity, comprehensive analytical skills, field adaptability, and engineering through hands-on courses in design and manufacturing. Training engineering communication through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Through co-productions and competitions, students are encouraged to collaborate, learn and interest in engineering.

    닫기
3 0 0 (3) 상세보기
  • 국문

    3인 이상의 수강생들이 팀을 이루어서 주어진 주제에 대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창출된 아이디어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프로젝트형 교과목이다. 설계, 제작 등의 실습과정을 통해서 창의력, 종합분석력, 현장적응능력 및 공학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며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한다. 토론과 발표를 통하여 공학적 의사전달을 훈련하며 공동제작 및 경기대회를 통하여 협동능력과 학습의욕 및 공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킨다.

  • English

    This is a project-based course where three or more students team up to derive creative ideas on a given topic, and to prototype the ideas. Students will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creativity, comprehensive analytical skills, field adaptability, and engineering through hands-on courses in design and manufacturing. Training engineering communication through discussions and presentations. Through co-productions and competitions, students are encouraged to collaborate, learn and interest in engineering.

닫기
2/1학기 전필 4145042
고체역학 (Solid Mechanics)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45042
  • 교과목명 : 고체역학 (Solid Mechan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고체역학의기초사항인힘,모멘트,응력과변형,힘의평형조건,역학적문제의해결순서,자유물체도,보에발생하는전단력과굽힘모멘트,압력용기의해석,평면응력상태,모어서클,주응력과최대전단응력에관하여학습한다.

    • English

      Basic knowledge in strength of materials such as definition of stress and strain, equilibrium conditions with force and momentum, process in solving dynamic problems, free body diagrams, stresses in torsion and bending moments of beams, analysis of pressure vessels, handling plane stress, and how to draw Mohr circles will be learne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고체역학의기초사항인힘,모멘트,응력과변형,힘의평형조건,역학적문제의해결순서,자유물체도,보에발생하는전단력과굽힘모멘트,압력용기의해석,평면응력상태,모어서클,주응력과최대전단응력에관하여학습한다.

  • English

    Basic knowledge in strength of materials such as definition of stress and strain, equilibrium conditions with force and momentum, process in solving dynamic problems, free body diagrams, stresses in torsion and bending moments of beams, analysis of pressure vessels, handling plane stress, and how to draw Mohr circles will be learned.

닫기
2/1학기 전선 4145046
전기전자공학개론 (Introduction to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46
  • 교과목명 : 전기전자공학개론 (Introduction to 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전기적으로 닫힌 루프 속에서 저항, 커패시터 및 인덕터와 같은 수동소자나 트랜지스터, 연산증폭기와 같은 능동소자, 그리고 TTL 논리게이트와 같은 디지털 소자의 전류 및 전압출력 특성을 수학적으로 해석하는 KVL 및 KCL과 같은 회로방정식을 다룬다. 본 교과목을 통해 직류, 교류회로 및 논리회로의 설계원리를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deals with circuit equations such as KVL and KCL, which mathematically interpret the current and voltage output characteristics of passive elements (resistance, capacitor and inductor), active elements (transistor, math amplifier), and digital devices (TTL logicates) in electrically closed loops. Through this subject, students learn the design principles of DC, AC and logical circuit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전기적으로 닫힌 루프 속에서 저항, 커패시터 및 인덕터와 같은 수동소자나 트랜지스터, 연산증폭기와 같은 능동소자, 그리고 TTL 논리게이트와 같은 디지털 소자의 전류 및 전압출력 특성을 수학적으로 해석하는 KVL 및 KCL과 같은 회로방정식을 다룬다. 본 교과목을 통해 직류, 교류회로 및 논리회로의 설계원리를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deals with circuit equations such as KVL and KCL, which mathematically interpret the current and voltage output characteristics of passive elements (resistance, capacitor and inductor), active elements (transistor, math amplifier), and digital devices (TTL logicates) in electrically closed loops. Through this subject, students learn the design principles of DC, AC and logical circuits.

닫기
2/1학기 전필 4145056
동역학 (Dynamics)
  • 학년/학기 : 2/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45056
  • 교과목명 : 동역학 (Dynam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물체에 작용하는 외력과 운동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학문으로, 동적시스템을 구성하는 질점, 질점계 및 강체요소의 운동해석에 의하며, 뉴턴방법, 일과에너지원리 및 운동량/충격량 원리를 배우고 충돌문제, 강체의 병진 및 회전운동 문제에 응용한다. 또한 기구학과 운동량을 바탕으로 운동방정식을 세우고 이를 풀어서 변위속도, 가속도를 배운다.

    • English

      External forces acting upon an object, the dynamics, as the study of dealing with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pretation of movement of mass system, a material point and rigid components that make the system. Students learn the Impulse and principles and momentum, Newton's law, work and energy, and by rigid, conflicts and learn the principles of translation and gyroscopic motion on the issue of application. Students also learn the displacement velocity and acceleration by setting up an exercise equation based on the equation of mo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물체에 작용하는 외력과 운동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학문으로, 동적시스템을 구성하는 질점, 질점계 및 강체요소의 운동해석에 의하며, 뉴턴방법, 일과에너지원리 및 운동량/충격량 원리를 배우고 충돌문제, 강체의 병진 및 회전운동 문제에 응용한다. 또한 기구학과 운동량을 바탕으로 운동방정식을 세우고 이를 풀어서 변위속도, 가속도를 배운다.

  • English

    External forces acting upon an object, the dynamics, as the study of dealing with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pretation of movement of mass system, a material point and rigid components that make the system. Students learn the Impulse and principles and momentum, Newton's law, work and energy, and by rigid, conflicts and learn the principles of translation and gyroscopic motion on the issue of application. Students also learn the displacement velocity and acceleration by setting up an exercise equation based on the equation of motion.

닫기
2/2학기 전선 4145025
전기전자회로실험 (Electrical and electronic experiment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25
  • 교과목명 : 전기전자회로실험 (Electrical and electronic experiment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기초 전기회로, 아날로그 전자회로, 디지털 전자회로, 센서 및 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전기 전자회로에 대해서 실험한다.

    • English

      In this class, students can experimentally study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circuits such as basic electrical circuits, analog electronics circuits, digital electronics circuits, sensors and motors.

    닫기
3 2 0 (2) 상세보기
  • 국문

    기초 전기회로, 아날로그 전자회로, 디지털 전자회로, 센서 및 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전기 전자회로에 대해서 실험한다.

  • English

    In this class, students can experimentally study various electrical and electronic circuits such as basic electrical circuits, analog electronics circuits, digital electronics circuits, sensors and motors.

닫기
2/2학기 전선 4145030
메카니즘설계및해석 (Mechanism Design and Analysi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30
  • 교과목명 : 메카니즘설계및해석 (Mechanism Design and Analysi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0-(1)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자동화장치, 로보트, 자동차, 공작기계 등에 적용되는 메카니즘의 종류와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해석적방법과, 도식적방법, 그리고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하여 메카니즘의 변위, 속도, 가속도 해석을 수행한다.해석 능력을 기반으로 메카니즘의 기본적인 설계능력을 함양한다.

    • English

      Understand the types and operating principles of mechanisms applied to automation devices, robots, automobiles, and machine tools, and analyze the displacement, velocity, and acceleration of mechanisms using analytical methods, schematic methods, and software. To develop the basic design ability of the mechanism.

    닫기
3 2 0 (1) 상세보기
  • 국문

    자동화장치, 로보트, 자동차, 공작기계 등에 적용되는 메카니즘의 종류와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해석적방법과, 도식적방법, 그리고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하여 메카니즘의 변위, 속도, 가속도 해석을 수행한다.해석 능력을 기반으로 메카니즘의 기본적인 설계능력을 함양한다.

  • English

    Understand the types and operating principles of mechanisms applied to automation devices, robots, automobiles, and machine tools, and analyze the displacement, velocity, and acceleration of mechanisms using analytical methods, schematic methods, and software. To develop the basic design ability of the mechanism.

닫기
2/2학기 전선 4145040
응용고체역학 (Applied Solid Mechanic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40
  • 교과목명 : 응용고체역학 (Applied Solid Mechan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고체역학에서 학습한 힘의 평형조건, 응력, 모멘트, 자유물체도를 기초로 해서 이 사항들을 응용한 분야를 다룬다. 미소변형체의 비틀림, 굽힘, 처짐, 좌굴에서 물체 내부에 발생하는 응력의 종류를 밝히고 그 크기를 구한다. 응력의 크기가 구해지면 실제 강도설계에서 어떻게 이용되는지에 대하여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deals with the application of these items based on the force equilibrium conditions, stresses, moments, and free body diagrams learned in solid mechanics. Find the type of stress generated inside the object in torsion, bending, deflection, and buckling of the microdeformation body. Once the magnitude of stress is found, learn how to use it in actual strength desig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고체역학에서 학습한 힘의 평형조건, 응력, 모멘트, 자유물체도를 기초로 해서 이 사항들을 응용한 분야를 다룬다. 미소변형체의 비틀림, 굽힘, 처짐, 좌굴에서 물체 내부에 발생하는 응력의 종류를 밝히고 그 크기를 구한다. 응력의 크기가 구해지면 실제 강도설계에서 어떻게 이용되는지에 대하여 학습한다.

  • English

    This course deals with the application of these items based on the force equilibrium conditions, stresses, moments, and free body diagrams learned in solid mechanics. Find the type of stress generated inside the object in torsion, bending, deflection, and buckling of the microdeformation body. Once the magnitude of stress is found, learn how to use it in actual strength design.

닫기
2/2학기 전선 4145047
의용공학개론 (Introduction to Biomedical Engineering)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47
  • 교과목명 : 의용공학개론 (Introduction to Biomedical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공학과 의학의 융합분야인 의용공학의 기초적 내용과 응용사례에 대하여 공부한다. 이를 통하여 현대 최첨단 의료기기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the basic contents and application cases of medical engineering, which is the convergence of engineering and medicine. Through this, the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modern high-tech medical device is improve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공학과 의학의 융합분야인 의용공학의 기초적 내용과 응용사례에 대하여 공부한다. 이를 통하여 현대 최첨단 의료기기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the basic contents and application cases of medical engineering, which is the convergence of engineering and medicine. Through this, the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modern high-tech medical device is improved.

닫기
2/2학기 전선 4145048
기계재료 (Mechanic Material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48
  • 교과목명 : 기계재료 (Mechanic Material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수업은 기계 및 의료기기 설계와 해석에 요구되는 재료의 물성과 특성에 관한 전문적 이론을 학습한다. 구조체의 해석, 설계 및 제작을 위한 최적화 재료의 탐색과 선정을 위한 이론적 지식을 학습한다.

    • English

      This class learns the professional theory on the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materials required for the design and analysis of machines and biomedical devices. This course proposes the theoretical knowledge for the investigation and decision of optimized materials for analysis, design, and fabrication of structur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수업은 기계 및 의료기기 설계와 해석에 요구되는 재료의 물성과 특성에 관한 전문적 이론을 학습한다. 구조체의 해석, 설계 및 제작을 위한 최적화 재료의 탐색과 선정을 위한 이론적 지식을 학습한다.

  • English

    This class learns the professional theory on the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materials required for the design and analysis of machines and biomedical devices. This course proposes the theoretical knowledge for the investigation and decision of optimized materials for analysis, design, and fabrication of structures.

닫기
2/2학기 전필 4145057
열역학 (Thermodynamics)
  • 학년/학기 : 2/2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45057
  • 교과목명 : 열역학 (Thermodynam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열역학은 열에너지와 일에너지의 작용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상태량들의 상호관계에 대한 학문이다. 본 과목에서는 크게 에너지 보존 법칙을 이용한 다양한 열역학 시스템들에 대한 상태해석과 엔트로피의 개념을 이용한 이론적 최대효율에 대해 학습하며, 이를 위해 세부적으로 순수 물질의 상변화, 내부에너지, 엔탈피, 비열, 엔트로피, 가역과정, 시스템, 사이클 등의 개념에 대해 학습한다.

    • English

      Thermodynamics is the study of the interrelationship among heat, work, and internal energy of systems. In this course, we learn about the state analysis of various thermal systems using the law of energy conservation and the theoretical maximum efficiency using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Also for this, we learn in detail the concepts of phase change processes of pure substances, internal energy, enthalpy, entropy, reversible and irreversible process, etc.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열역학은 열에너지와 일에너지의 작용과 이와 관련된 다양한 상태량들의 상호관계에 대한 학문이다. 본 과목에서는 크게 에너지 보존 법칙을 이용한 다양한 열역학 시스템들에 대한 상태해석과 엔트로피의 개념을 이용한 이론적 최대효율에 대해 학습하며, 이를 위해 세부적으로 순수 물질의 상변화, 내부에너지, 엔탈피, 비열, 엔트로피, 가역과정, 시스템, 사이클 등의 개념에 대해 학습한다.

  • English

    Thermodynamics is the study of the interrelationship among heat, work, and internal energy of systems. In this course, we learn about the state analysis of various thermal systems using the law of energy conservation and the theoretical maximum efficiency using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Also for this, we learn in detail the concepts of phase change processes of pure substances, internal energy, enthalpy, entropy, reversible and irreversible process, etc.

닫기
3/1학기 전선 4145017
현장실습 (Internship Program)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17
  • 교과목명 : 현장실습 (Internship Program)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4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산업체 실습을 통해 전공 지식을 심화하고, 이를 실무에 적용시키는 능력을 배양하며, 현장에서의 적응력을 높여 졸업 후 성공적인 엔지니어로 활동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Through the practice of industry, we will deepen our knowledge of major, cultivate the ability to apply it in practice, and increase adaptability on the field, thereby fostering the ability to act as a successful engineer after graduation.

    닫기
3 0 40 상세보기
  • 국문

    산업체 실습을 통해 전공 지식을 심화하고, 이를 실무에 적용시키는 능력을 배양하며, 현장에서의 적응력을 높여 졸업 후 성공적인 엔지니어로 활동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Through the practice of industry, we will deepen our knowledge of major, cultivate the ability to apply it in practice, and increase adaptability on the field, thereby fostering the ability to act as a successful engineer after graduation.

닫기
3/1학기 전선 4145024
생체모사공학 (Biomimicry Engineering)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24
  • 교과목명 : 생체모사공학 (Biomimicry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체모사 장비의 설계 및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생체의 원리 및 생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이론적 원리를 기반으로 Micro / Nano / Bio 분야의 공학적 기술을 활용하여 생체모사된 장비의 의료 산업 분야의 활용에 대해 학습한다.

    • English

      Based on the principles of living-organisms and theoretical principles applicable to living systems, We learn about the use of biomimetic equipment in the medical industry by utilizing engineering technologies in the Micro / Nano / Bio field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생체모사 장비의 설계 및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생체의 원리 및 생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이론적 원리를 기반으로 Micro / Nano / Bio 분야의 공학적 기술을 활용하여 생체모사된 장비의 의료 산업 분야의 활용에 대해 학습한다.

  • English

    Based on the principles of living-organisms and theoretical principles applicable to living systems, We learn about the use of biomimetic equipment in the medical industry by utilizing engineering technologies in the Micro / Nano / Bio fields.

닫기
3/1학기 전선 4145026
기계설계 (Machine Design)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26
  • 교과목명 : 기계설계 (Machine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기계(부품,시스템)을설계하기위한기초적설계지식을배운다.기초배경지식(역학개념,설계요소,안정성,신뢰성,설계방법소개,부품재료,부품파손사례)로시작하여,나사,키,용접이음,축,스프링등으로주로정적이음요소에대하여배운다.

    • English

      Understand basic knowledge for designing machines including parts and systems, and background knowledge for mechanical concepts, design elements, stability, reliability, design method, static failure, and durability. Students will learn how to design key elements in machines such as joints, axes, , screws, keys, welding, and springs.

    닫기
3 1 0 (2) 상세보기
  • 국문

    기계(부품,시스템)을설계하기위한기초적설계지식을배운다.기초배경지식(역학개념,설계요소,안정성,신뢰성,설계방법소개,부품재료,부품파손사례)로시작하여,나사,키,용접이음,축,스프링등으로주로정적이음요소에대하여배운다.

  • English

    Understand basic knowledge for designing machines including parts and systems, and background knowledge for mechanical concepts, design elements, stability, reliability, design method, static failure, and durability. Students will learn how to design key elements in machines such as joints, axes, , screws, keys, welding, and springs.

닫기
3/1학기 전선 4145031
기초유한요소법 (Introduction to Finite Element Method)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31
  • 교과목명 : 기초유한요소법 (Introduction to Finite Element Method)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0-(1)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유한요소법은 기계, 자동차, 조선, 항공, 토목, 건축, 전기 등 공학 분야뿐만 아니라 물리, 화학 등 기초과학 영역에까지 매우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수치해석 도구이다. 고성능 컴퓨터와 캐드 소프트웨어가 널리 보급되면서 공학적, 산업적 설계를 위한 해석 및 수치 실험의 표준 방식으로 그 입지가 굳어졌다. 본 교과목은 아직 전문지식을 갖추지 못한 학부 고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유한요소법 기초이론 강의와 해석 실습을 통하여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설계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데 그 목표를 둔다.

    • English

      The finite element method is a numerical tool that is widely used not only in the fields of engineering such as machinery, automobile, shipbuilding, aviation,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electricity, but also in basic science including physics and chemistry. With the spread of high-performance computers and CAD software, its position has been solidified as a standard method for analytic and numerical simulations in engineering and industrial design. This course targets undergraduate seniors with no expertise, and aims to provide students with practical skills for efficient use of a commercial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widely used in the design process through theoretical lectures and analysis practices.

    닫기
3 2 0 (1) 상세보기
  • 국문

    유한요소법은 기계, 자동차, 조선, 항공, 토목, 건축, 전기 등 공학 분야뿐만 아니라 물리, 화학 등 기초과학 영역에까지 매우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수치해석 도구이다. 고성능 컴퓨터와 캐드 소프트웨어가 널리 보급되면서 공학적, 산업적 설계를 위한 해석 및 수치 실험의 표준 방식으로 그 입지가 굳어졌다. 본 교과목은 아직 전문지식을 갖추지 못한 학부 고학년생들을 대상으로, 유한요소법 기초이론 강의와 해석 실습을 통하여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설계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데 그 목표를 둔다.

  • English

    The finite element method is a numerical tool that is widely used not only in the fields of engineering such as machinery, automobile, shipbuilding, aviation, civil engineering, architecture, electricity, but also in basic science including physics and chemistry. With the spread of high-performance computers and CAD software, its position has been solidified as a standard method for analytic and numerical simulations in engineering and industrial design. This course targets undergraduate seniors with no expertise, and aims to provide students with practical skills for efficient use of a commercial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widely used in the design process through theoretical lectures and analysis practices.

닫기
3/1학기 전선 4145032
공학도를위한인체생리학 (Human Physiology for Engineer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32
  • 교과목명 : 공학도를위한인체생리학 (Human Physiology for Engine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공학도로서 의료기기 설계 등을 위하여 알아야 할 인체생리학의 기본적 내용을 학습한다. 이를 위하여 인체 장기의 기능적 원리에 대한 기초적 지식 및 인체 기능의 종합적인 상호작용에 관한 개론적인 지식을 학습한다. 특히 본 과목에서는 현대 과학기술의 가장 중요한 핵심 분야인 뇌의 생리학적 현상을 집중 교육한다. 이를 통하여 인간의 감정과 지능에 대한 생리학적 현상을 이해하며, 우리 뇌를 모방한 인공지능의 원리 등에 대한 이해를 드높인다.

    • English

      As an engineering student,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contents of human physiology that should be known for medical device design. To this end, students learn basic knowledge about functional principles of human organs and introductory knowledge about comprehensive interaction of human functions. In particular, this course focuses on the physiological phenomena of the brain, the most important core fields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 this, we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phenomena of human emotion and intelligence, and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mimics our brai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공학도로서 의료기기 설계 등을 위하여 알아야 할 인체생리학의 기본적 내용을 학습한다. 이를 위하여 인체 장기의 기능적 원리에 대한 기초적 지식 및 인체 기능의 종합적인 상호작용에 관한 개론적인 지식을 학습한다. 특히 본 과목에서는 현대 과학기술의 가장 중요한 핵심 분야인 뇌의 생리학적 현상을 집중 교육한다. 이를 통하여 인간의 감정과 지능에 대한 생리학적 현상을 이해하며, 우리 뇌를 모방한 인공지능의 원리 등에 대한 이해를 드높인다.

  • English

    As an engineering student, students will learn the basic contents of human physiology that should be known for medical device design. To this end, students learn basic knowledge about functional principles of human organs and introductory knowledge about comprehensive interaction of human functions. In particular, this course focuses on the physiological phenomena of the brain, the most important core fields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 this, we understand the physiological phenomena of human emotion and intelligence, and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incip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mimics our brain.

닫기
3/1학기 전선 4145034
생체계측 (Biomedical and Medical Measurement)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34
  • 교과목명 : 생체계측 (Biomedical and Medical Measurement)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생체의 계측은 물리, 화학, 생명공학의 첨단 지식이 융합한 기술이며 의료기기의 개발 뿐만 아니라 자동차, 항, 군사 분야로 그 응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주요 학문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계측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힘, 압력, 속도, 유속, 거리, 음압, 광량 등 다양한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물리적 원리 및 계측시스템의 구조를 이해하고 생체의 계측 분야를 이해하며 관련 의료기기의 원리 및 기술동향을 파악한다.

    • English

      Measurement of living organisms is a technology that combines advanced knowledge of physics, chemistry, and biotechnology, and is a major discipline in which the application fields are expanding not only in the development of medical devices but also in the automotive, marine, and military fields.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of measurement, understand the physical principles of sensors for measuring various physical quantities such as force, pressure, speed, velocity, distance, sound pressure, quantity of light, and the structure of measurement system.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trends of related medical devic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생체의 계측은 물리, 화학, 생명공학의 첨단 지식이 융합한 기술이며 의료기기의 개발 뿐만 아니라 자동차, 항, 군사 분야로 그 응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주요 학문이다. 본 교과목에서는 계측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힘, 압력, 속도, 유속, 거리, 음압, 광량 등 다양한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의 물리적 원리 및 계측시스템의 구조를 이해하고 생체의 계측 분야를 이해하며 관련 의료기기의 원리 및 기술동향을 파악한다.

  • English

    Measurement of living organisms is a technology that combines advanced knowledge of physics, chemistry, and biotechnology, and is a major discipline in which the application fields are expanding not only in the development of medical devices but also in the automotive, marine, and military fields.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basic concepts of measurement, understand the physical principles of sensors for measuring various physical quantities such as force, pressure, speed, velocity, distance, sound pressure, quantity of light, and the structure of measurement system.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trends of related medical devices.

닫기
3/1학기 전선 4145035
생체재료 (Biomaterial Science)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35
  • 교과목명 : 생체재료 (Biomaterial Scienc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의료기 개발에서 중요한 주제 중 하나는 재료의 선택이다. 이러한 문제는 종종 인체 조직과의 친화성, 재료의 기계적 특성, 제조의 용이성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본 과정을 통해 기계의용전공 학생들이 약물 전달, 조직 공학, 바이오 센서 및 바이오 이미징 시스템과 관련된 생체 재료의 기본 개념을 익힌다.

    • English

      One of the important topics in the development of medical devices is the choice of materials. This problem is often closely related to affinity with human tissu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ease of manufacture. This course is intended for mechanical and biomedical engineering students to learn the basic concepts of biomaterials related to drug delivery, tissue engineering, biosensors and bio-imaging system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의료기 개발에서 중요한 주제 중 하나는 재료의 선택이다. 이러한 문제는 종종 인체 조직과의 친화성, 재료의 기계적 특성, 제조의 용이성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본 과정을 통해 기계의용전공 학생들이 약물 전달, 조직 공학, 바이오 센서 및 바이오 이미징 시스템과 관련된 생체 재료의 기본 개념을 익힌다.

  • English

    One of the important topics in the development of medical devices is the choice of materials. This problem is often closely related to affinity with human tissu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ease of manufacture. This course is intended for mechanical and biomedical engineering students to learn the basic concepts of biomaterials related to drug delivery, tissue engineering, biosensors and bio-imaging systems.

닫기
3/1학기 전선 4145038
열및물질전달 (Heat and Mass Transfer)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38
  • 교과목명 : 열및물질전달 (Heat and Mass Transfer)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열전달이 일어나는 세가지 유형인 전도, 대류 그리고 복사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다룬 후 전도 부분에서는 일반적인 열전도 식을 유도하여 그 식으로부터 정상상태와 일시적인 상태의 여러 경우에 대한 문제를 해석한다. 대류 부분에서는 강제적 외부흐름, 내부흐름, 자연대류 및 난류 유동 등을 다룬다. 끝으로 복사 부분에서는 관련된 특성과 표면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 형상 계수 등을 다룬다.

    • English

      After dealing with the basic concepts of conduction, convection, and radiation, three types of heat transfer occur, the conduction section derives general thermal conduction equations, and then interprets the problems of several cases of steady state and transient state. The convection section deals with forced external flow, internal flow, natural convection and turbulent flow. Finally, the radiation section deals with the related properties, heat exchange, and shape factors between surfac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열전달이 일어나는 세가지 유형인 전도, 대류 그리고 복사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다룬 후 전도 부분에서는 일반적인 열전도 식을 유도하여 그 식으로부터 정상상태와 일시적인 상태의 여러 경우에 대한 문제를 해석한다. 대류 부분에서는 강제적 외부흐름, 내부흐름, 자연대류 및 난류 유동 등을 다룬다. 끝으로 복사 부분에서는 관련된 특성과 표면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열교환, 형상 계수 등을 다룬다.

  • English

    After dealing with the basic concepts of conduction, convection, and radiation, three types of heat transfer occur, the conduction section derives general thermal conduction equations, and then interprets the problems of several cases of steady state and transient state. The convection section deals with forced external flow, internal flow, natural convection and turbulent flow. Finally, the radiation section deals with the related properties, heat exchange, and shape factors between surfaces.

닫기
3/1학기 전필 4145043
유체역학 (Fluid Mechanic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45043
  • 교과목명 : 유체역학 (Fluid Mechan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기계공학분야의 기초 역학으로서 기계공학도가 갖추어야할 유체정역학, 유체동력학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유체의 물성과 물성을 나타내는 변수, 압력과 유체정역학, 유동과 압력 그리고 층유와 난류등을 학습하게되며 학습후 에너지산업, 식품산업, 환경산업, 자동차산업, 반도체산업, 제철산업, 선박산업등 거의 모든 기간 산업 분야에 생산 및 연구 활동을 할 수있는 소양을 갖추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to study the hydrostatic and hydrodynamics of mechanical engineering as basic mechanics in mechanical engineering. You will study variables, pressure and hydrostatics, flow and pressure, and laminar and turbulent flow. The aim is to have the skills to produce and conduct research in all key industry sector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기계공학분야의 기초 역학으로서 기계공학도가 갖추어야할 유체정역학, 유체동력학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유체의 물성과 물성을 나타내는 변수, 압력과 유체정역학, 유동과 압력 그리고 층유와 난류등을 학습하게되며 학습후 에너지산업, 식품산업, 환경산업, 자동차산업, 반도체산업, 제철산업, 선박산업등 거의 모든 기간 산업 분야에 생산 및 연구 활동을 할 수있는 소양을 갖추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to study the hydrostatic and hydrodynamics of mechanical engineering as basic mechanics in mechanical engineering. You will study variables, pressure and hydrostatics, flow and pressure, and laminar and turbulent flow. The aim is to have the skills to produce and conduct research in all key industry sectors.

닫기
3/1학기 전필 4145044
제어공학 (Control Engineering)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필
  • 교과목번호 : 4145044
  • 교과목명 : 제어공학 (Control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과목은각종기계제어시스템을설계하기위해필요한기본제어이론을소개한다.선형시스템에대한시스템모델링및해석방법과제어기설계를위한고전적및현대적방법들이논의된다.

    • English

      This course introduces the basic control theory required to design various machine control systems. System modeling and analysis methods for linear systems and classical and modern methods for controller design are discusse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과목은각종기계제어시스템을설계하기위해필요한기본제어이론을소개한다.선형시스템에대한시스템모델링및해석방법과제어기설계를위한고전적및현대적방법들이논의된다.

  • English

    This course introduces the basic control theory required to design various machine control systems. System modeling and analysis methods for linear systems and classical and modern methods for controller design are discussed.

닫기
3/1학기 전선 4145051
마이크로콘트롤러실습및응용 (Practice and Application of Microcontroller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51
  • 교과목명 : 마이크로콘트롤러실습및응용 (Practice and Application of Microcontroller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개본적 개념을 학습하고 실습을 통하여 해석 및 합성에 관한 지식을 습득한다. 포트, 인터럽트, 타이머 카운터, 직렬 기반의 통신기법, 내부 및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 및 스케쥴링 기법의 개념을 이해한다.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개발에 필요한 H/W적 회로 설계와 S/W적 프로그램 개발을 실제 실습을 통하여 경험하고 이해한다.

    • English

      The objective is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e of microcontrollers and how they works with external devices. Students learn about various functions of the microcontrollers including ports, interrupt, timer/counter etc. The students can design and implement practical applications using the microcontrollers.

    닫기
3 2 0 (2) 상세보기
  • 국문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개본적 개념을 학습하고 실습을 통하여 해석 및 합성에 관한 지식을 습득한다. 포트, 인터럽트, 타이머 카운터, 직렬 기반의 통신기법, 내부 및 외부 메모리 인터페이스, 및 스케쥴링 기법의 개념을 이해한다. 마이크로 콘트롤러의 개발에 필요한 H/W적 회로 설계와 S/W적 프로그램 개발을 실제 실습을 통하여 경험하고 이해한다.

  • English

    The objective is to understand the architecture of microcontrollers and how they works with external devices. Students learn about various functions of the microcontrollers including ports, interrupt, timer/counter etc. The students can design and implement practical applications using the microcontrollers.

닫기
3/1학기 전선 4145058
반도체및MEMS제조기술 (Fabrication Processes of Semiconductor and MEM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58
  • 교과목명 : 반도체및MEMS제조기술 (Fabrication Processes of Semiconductor and MEM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마이크로및나노스케일의구조물을제작하는방법으로반도체공정을소개하고그차이점을전통적가공방법과비교한다.이를통하여마이크로/나노구조의제작방법을이해하고,작은크기의구조물의물리적특성을파악한다.

    • English

      Learn abou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semiconductor fabrication process-based MEMS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ultra-small mechatronics, and then learn about the basic processes of semiconductor fabrication process: lithography, oxidation process, chemical/phys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dry/wet etching process, and integrate the basic process. Students learn about the design technology of ultra-small mechatronic parts or system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마이크로및나노스케일의구조물을제작하는방법으로반도체공정을소개하고그차이점을전통적가공방법과비교한다.이를통하여마이크로/나노구조의제작방법을이해하고,작은크기의구조물의물리적특성을파악한다.

  • English

    Learn abou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semiconductor fabrication process-based MEMS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ultra-small mechatronics, and then learn about the basic processes of semiconductor fabrication process: lithography, oxidation process, chemical/physical vapor deposition process, dry/wet etching process, and integrate the basic process. Students learn about the design technology of ultra-small mechatronic parts or systems.

닫기
3/1학기 전선 4145059
응용동역학 (Applied Dynamic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59
  • 교과목명 : 응용동역학 (Applied Dynam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물체에 작용하는 외력과 운동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학문으로, 강체 시스템의 운동방정식을 유도하고 해를 구한다. 동역학 해석방법으로, 뉴턴방법, 일과에너지원리 및 운동량/충격량 원리를 배운다. 이러한 방법들을 다양한 유형의 강체시스템의 병진 및 회전운동, 충돌문제에 응용한다.

    • English

      This course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body and the motion. It derives and solves the equations of motion of the rigid body system.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the Newton method, the principle of work and energy and the principle of momentum and impulse. These methods are applied to the translation, rotational motions and collision problems of various kinds of rigid body system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물체에 작용하는 외력과 운동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학문으로, 강체 시스템의 운동방정식을 유도하고 해를 구한다. 동역학 해석방법으로, 뉴턴방법, 일과에너지원리 및 운동량/충격량 원리를 배운다. 이러한 방법들을 다양한 유형의 강체시스템의 병진 및 회전운동, 충돌문제에 응용한다.

  • English

    This course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body and the motion. It derives and solves the equations of motion of the rigid body system.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learn the Newton method, the principle of work and energy and the principle of momentum and impulse. These methods are applied to the translation, rotational motions and collision problems of various kinds of rigid body systems.

닫기
3/1학기 전선 4145060
응용열역학 (Applied Thermodynamics)
  • 학년/학기 : 3/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60
  • 교과목명 : 응용열역학 (Applied Thermodynam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에서는 열역학 제1법칙과 제2법칙을 이용하여 다양한 열역학 사이클에 대해 분석하고,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학습한다. 자동차 엔진을 위한 오토사이클 및 디젤사이클, 증기발전을 위한 랜킨사이클, 가스터빈을 위한 브레이튼 사이클, 냉장고, 에어컨 및 히트펌프를 위한 증기압축식 냉각사이클에 대해 학습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various thermodynamic cycles are analyzed and the method to increase the efficiency is studied using the first and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e cycles covered in the class include Otto and Diesel cycles for automibile engines, Rankine cycles for steam power plants, Brayton cycles for gas turbine engines, and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cycles for refrigerators, airconditioners and heat pump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에서는 열역학 제1법칙과 제2법칙을 이용하여 다양한 열역학 사이클에 대해 분석하고,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학습한다. 자동차 엔진을 위한 오토사이클 및 디젤사이클, 증기발전을 위한 랜킨사이클, 가스터빈을 위한 브레이튼 사이클, 냉장고, 에어컨 및 히트펌프를 위한 증기압축식 냉각사이클에 대해 학습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various thermodynamic cycles are analyzed and the method to increase the efficiency is studied using the first and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The cycles covered in the class include Otto and Diesel cycles for automibile engines, Rankine cycles for steam power plants, Brayton cycles for gas turbine engines, and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cycles for refrigerators, airconditioners and heat pumps.

닫기
3/2학기 전선 4145018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18
  • 교과목명 : 취업·창업과꿈-설계 (Career Choice and Startup)
  • 학점-강의-실습(설계) : 1-1-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1 1 0 상세보기
  • 국문

    취업·창업과 꿈-설계는 내가 선택한 전공 안에서 진로에 대한 고민과 탐색을 진행하는 교과목입니다.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바탕으로 전공을 이해하고, 전공 관련 직업을 탐색·설정·준비하는 전체 과정을 다룹니다.

  • English

    Career Choice and Startup provides a change of sharing about concerns about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and exploring. This course covers the entire process of understanding, exploring, establishing, preparing career path within each major based on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닫기
3/2학기 전선 4145020
제어시스템설계및응용 (Control system design and application)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20
  • 교과목명 : 제어시스템설계및응용 (Control system design and appli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0-(3)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제어공학 기초를 수강한 학생에 대하여 보다 심화된 제어공학의 여러분야를 강의한다. 고전제어법칙에 근거한 제어계의 설계, 평가에 관한 능력을 배양하며, 제어계해석/설계 도구인 MATALB/SIMULINK를 사용한 제어계 설계/평가에 관한 실습을 시행한다. 또한 디저털제어계의 HW 및 SW적인 구성/z변환/Tustin변환등에 관한 개념을 수립한다.

    • English

      Give a lecture on the more advanced control engineering for students who have taken the basics of control engineering. It cultivates its ability to design and evaluate control systems based on the High Control Law and implements hands-on exercise on design/assessment of control systems using MATALB/SIMULINK, a control system analysis/design tool. Also, the concept of HW and SW-like composition/z conversion/Tustin conversion of the dessert control system is established

    닫기
3 0 0 (3) 상세보기
  • 국문

    제어공학 기초를 수강한 학생에 대하여 보다 심화된 제어공학의 여러분야를 강의한다. 고전제어법칙에 근거한 제어계의 설계, 평가에 관한 능력을 배양하며, 제어계해석/설계 도구인 MATALB/SIMULINK를 사용한 제어계 설계/평가에 관한 실습을 시행한다. 또한 디저털제어계의 HW 및 SW적인 구성/z변환/Tustin변환등에 관한 개념을 수립한다.

  • English

    Give a lecture on the more advanced control engineering for students who have taken the basics of control engineering. It cultivates its ability to design and evaluate control systems based on the High Control Law and implements hands-on exercise on design/assessment of control systems using MATALB/SIMULINK, a control system analysis/design tool. Also, the concept of HW and SW-like composition/z conversion/Tustin conversion of the dessert control system is established

닫기
3/2학기 전선 4145022
인공지능및기계학습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22
  • 교과목명 : 인공지능및기계학습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0-(3)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에서는 인공지능과 기계학습 분야의 다양한 알고리즘을 실질적인 예제와 함께 공부한다. 수업에서 배워보는 알고리즘들에는 선형회귀방법, 로지스틱 회귀방법, 신경망방법, SVM 등과 최신 기법인 YOLOv8 등이 있다. 학생들은 모든 알고리즘들을 샘플자료와 적절한 코드로 구현하여 실습해본다.

    • English

      In this course, you will learn various algorithms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with practical examples. The algorithms taught in the class include linear regression, logistic regression, neural networks, SVM, and the latest technique, YOLOv8 and so on. Students will practice all algorithms by implementing them with sample data and appropriate code.

    닫기
3 0 0 (3) 상세보기
  • 국문

    이 과목에서는 인공지능과 기계학습 분야의 다양한 알고리즘을 실질적인 예제와 함께 공부한다. 수업에서 배워보는 알고리즘들에는 선형회귀방법, 로지스틱 회귀방법, 신경망방법, SVM 등과 최신 기법인 YOLOv8 등이 있다. 학생들은 모든 알고리즘들을 샘플자료와 적절한 코드로 구현하여 실습해본다.

  • English

    In this course, you will learn various algorithms in the fiel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achine learning with practical examples. The algorithms taught in the class include linear regression, logistic regression, neural networks, SVM, and the latest technique, YOLOv8 and so on. Students will practice all algorithms by implementing them with sample data and appropriate code.

닫기
3/2학기 전선 4145028
기계진동 (Mechanical Vibration)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28
  • 교과목명 : 기계진동 (Mechanical Vibr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여러 진동시스템의 거동을 이해하고, 진동발생의 원리와 시스템을 해석하고 설계할 수 있는 원리 및 방법을 다룬다. 현실적 제한요소를 고려하여 진동과 관련된 기계적 현상을 이해하고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the principles of vibration generation and the principles and methods for analyzing and designing vibration systems. Considering realistic constraints, develop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incorporate mechanical phenomena related to vibration.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여러 진동시스템의 거동을 이해하고, 진동발생의 원리와 시스템을 해석하고 설계할 수 있는 원리 및 방법을 다룬다. 현실적 제한요소를 고려하여 진동과 관련된 기계적 현상을 이해하고 설계에 반영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This course covers the principles of vibration generation and the principles and methods for analyzing and designing vibration systems. Considering realistic constraints, develop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incorporate mechanical phenomena related to vibration.

닫기
3/2학기 전선 4145029
벤처·융합캡스톤디자인1 (Venture·Integrated Capstone Design1)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29
  • 교과목명 : 벤처·융합캡스톤디자인1 (Venture·Integrated Capstone Design1)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0-(3)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기초설계 및 재료설계 1, 2를 통하여 경험한 설계능력을 기반으로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종합설계 능력의 배양을 목표로 한다. 이와 더불어 설계 주제를 기반으로 한 창업에 대한 기초지식 및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Students can enhance the ability of creative and integrated material design activities. Capstone design includes lab-based design problems, feasibility and impact analysis, complete design process, consideration of alternative solutions, and cost estimation and scheduling. Students also experience team effort on lab-based activities, development of a system, communication skills, and presentations. The course would provide some guides on venture foundation.

    닫기
3 0 0 (3)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기초설계 및 재료설계 1, 2를 통하여 경험한 설계능력을 기반으로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종합설계 능력의 배양을 목표로 한다. 이와 더불어 설계 주제를 기반으로 한 창업에 대한 기초지식 및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Students can enhance the ability of creative and integrated material design activities. Capstone design includes lab-based design problems, feasibility and impact analysis, complete design process, consideration of alternative solutions, and cost estimation and scheduling. Students also experience team effort on lab-based activities, development of a system, communication skills, and presentations. The course would provide some guides on venture foundation.

닫기
3/2학기 전선 4145041
응용유체역학 (Applied Fluid Mechanics)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41
  • 교과목명 : 응용유체역학 (Applied Fluid Mechan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0-(1)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기계공학분야의 기초 역학으로서 기계공학도가 갖추어야할 유체정역학, 유체동력학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유체의 물성과 물성을 나타내는 변수, 압력과 유체정역학, 유동과 압력 그리고 층유와 난류 등을 학습하게 되며 학습 후 에너지산업, 식품산업, 환경산업, 자동차산업, 반도체산업, 제철산업, 선박산업 등 거의 모든 기간산업 분야에 생산 및 연구 활동을 할 수 있는 소양을 갖추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to study the hydrostatic and hydrodynamics of mechanical engineering as basic mechanics in mechanical engineering. Students will study variables, phys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fluids, pressure and hydrostatics, flow and pressure, and laminar and turbulent flows. The aim is to have the skills to produce and conduct research in all key industries.

    닫기
3 2 0 (1) 상세보기
  • 국문

    기계공학분야의 기초 역학으로서 기계공학도가 갖추어야할 유체정역학, 유체동력학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유체의 물성과 물성을 나타내는 변수, 압력과 유체정역학, 유동과 압력 그리고 층유와 난류 등을 학습하게 되며 학습 후 에너지산업, 식품산업, 환경산업, 자동차산업, 반도체산업, 제철산업, 선박산업 등 거의 모든 기간산업 분야에 생산 및 연구 활동을 할 수 있는 소양을 갖추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한다.

  • English

    This course is to study the hydrostatic and hydrodynamics of mechanical engineering as basic mechanics in mechanical engineering. Students will study variables, phys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fluids, pressure and hydrostatics, flow and pressure, and laminar and turbulent flows. The aim is to have the skills to produce and conduct research in all key industries.

닫기
3/2학기 전선 4145045
기계공학실험 (Mechanical Engineering Experimen)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45
  • 교과목명 : 기계공학실험 (Mechanical Engineering Experime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1-4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기계재료의 기계적 성질인 인장강도, 항복강도, 연신율을 구할 수 있는 인장시험과 경도시험, 피로시험, 충격시험을 수행한다. 탄소강의 열처리에 따른 조직변화를 관찰한다. 재료내부의 결함을 탐상하는 비파괴시험법 중의 하나인 초음파 탐상시험을 수행한다.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측정 실험을 수행한다.

    • English

      Tensile test, hardness test, fatigue test and impact test are performed to obta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ensile strength, yield strength and elongation. Observe the structure change of the carbon steel by heat treatment. Ultrasonic flaw detection is one of the non-destructive testing methods to detect defects in the material. In addition, stress measurement experiments using strain gauges are performed.

    닫기
3 1 4 상세보기
  • 국문

    기계재료의 기계적 성질인 인장강도, 항복강도, 연신율을 구할 수 있는 인장시험과 경도시험, 피로시험, 충격시험을 수행한다. 탄소강의 열처리에 따른 조직변화를 관찰한다. 재료내부의 결함을 탐상하는 비파괴시험법 중의 하나인 초음파 탐상시험을 수행한다. 또한 스트레인 게이지를 이용한 응력측정 실험을 수행한다.

  • English

    Tensile test, hardness test, fatigue test and impact test are performed to obta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ensile strength, yield strength and elongation. Observe the structure change of the carbon steel by heat treatment. Ultrasonic flaw detection is one of the non-destructive testing methods to detect defects in the material. In addition, stress measurement experiments using strain gauges are performed.

닫기
3/2학기 전선 4145052
솔리드모델응용설계 (Solid Model Application Design)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52
  • 교과목명 : 솔리드모델응용설계 (Solid Model Application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0-(3)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솔리드모델 기초설계의 후수과목으로 솔리드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계부품을 설계, 해석, 가공하는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학습하고, 솔리드윅스를 이용한 설계, 해석, 가공, CAD/CAM 인터페이스 실습을 통해 메카트로닉스 부품을 직접 설계함으로써 현장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Students lear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esigning, analyzing, and processing various mechanical parts using solid models. Cultivate field practice by designing mechatronic components through the Solidworks.

    닫기
3 0 0 (3)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솔리드모델 기초설계의 후수과목으로 솔리드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계부품을 설계, 해석, 가공하는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학습하고, 솔리드윅스를 이용한 설계, 해석, 가공, CAD/CAM 인터페이스 실습을 통해 메카트로닉스 부품을 직접 설계함으로써 현장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 English

    Students lear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designing, analyzing, and processing various mechanical parts using solid models. Cultivate field practice by designing mechatronic components through the Solidworks.

닫기
3/2학기 전선 4145062
생산제조공학 (Materials and Processes in Manufacturing)
  • 학년/학기 : 3/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62
  • 교과목명 : 생산제조공학 (Materials and Processes in Manufactu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공작법의 역사”, “금속재료의 기초”, “주조: 모형, 주형재료, 주형제작, 주물용 금속재료, 특수주물법, 분말야금”, “기계물성치의 특징 및 소성학의 기초”, “소성가공: 개요, 단조, 압연, 인발, 압출, 제관가공, 전조, 프레스 및 판금가+공”, “기계가공: 총론, 선반가공, 드릴링, 보링, 플레이너, 셰이퍼, 밀링가공 등“, ”용접: 총론, 가스용접 및 절단, 아아크용접, 전기저항용접, 특수용접법“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교육 병행)

    • English

      Learning about material behavior and its microstructure for manufacturing of machinery, electronic devices and parts. Also, learning about history of processing technology, the basic and heat treatment of metals, casting, plastic deforming, mechanical cutting, bonding, etc. By understanding the various manufacturing methods used in the real industry, improve the design ability of mechanical parts and systems based on manufacturing process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공작법의 역사”, “금속재료의 기초”, “주조: 모형, 주형재료, 주형제작, 주물용 금속재료, 특수주물법, 분말야금”, “기계물성치의 특징 및 소성학의 기초”, “소성가공: 개요, 단조, 압연, 인발, 압출, 제관가공, 전조, 프레스 및 판금가+공”, “기계가공: 총론, 선반가공, 드릴링, 보링, 플레이너, 셰이퍼, 밀링가공 등“, ”용접: 총론, 가스용접 및 절단, 아아크용접, 전기저항용접, 특수용접법“ 등에 대하여 강의한다.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교육 병행)

  • English

    Learning about material behavior and its microstructure for manufacturing of machinery, electronic devices and parts. Also, learning about history of processing technology, the basic and heat treatment of metals, casting, plastic deforming, mechanical cutting, bonding, etc. By understanding the various manufacturing methods used in the real industry, improve the design ability of mechanical parts and systems based on manufacturing processes.

닫기
4/1학기 전선 4145019
이동로봇공학개론 (Introduction to mobile robotics)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19
  • 교과목명 : 이동로봇공학개론 (Introduction to mobile robot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휴먼 로봇 시스템의 개요와 로봇의 기구학적 구성과 동역학적 해석을 학습한다. 로봇의 내부와 외부 환경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기법에 대하여 논의하고, 로봇의 지능을 부여하는 방법론에 대한 논의한다. 또한, 로봇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통합과 인터액션에 대하여 학습하고, 현재의 로봇의 기술적 수준과 미래의 비전에 대하여 논의한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basic kinematics, dynamics and control of robots as well as some particular applications of robots such as mobile robots, robot vis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tudents learn about how the robots interact with their environments using various sensors.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discuss technical robotic issu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휴먼 로봇 시스템의 개요와 로봇의 기구학적 구성과 동역학적 해석을 학습한다. 로봇의 내부와 외부 환경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기법에 대하여 논의하고, 로봇의 지능을 부여하는 방법론에 대한 논의한다. 또한, 로봇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통합과 인터액션에 대하여 학습하고, 현재의 로봇의 기술적 수준과 미래의 비전에 대하여 논의한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basic kinematics, dynamics and control of robots as well as some particular applications of robots such as mobile robots, robot vis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Students learn about how the robots interact with their environments using various sensors.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discuss technical robotic issues.

닫기
4/1학기 전선 4145023
모빌리티센서시스템 (Sensor Systems for Smart Mobilit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23
  • 교과목명 : 모빌리티센서시스템 (Sensor Systems for Smart Mobilit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에서는 대표적인 센서들의 특성과 원리에 대해 이해하고, 스마트모빌리티에 활용되는 다양한 센서시스템(GNSS, INS 등)의 동작 원리를 배운다. 센서 시스템의 핵심적 동작 원리에 관련된 데이터 처리 실습을 통해 이해도를 높인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representative sensors and learn about the operating principles of various sensor systems used in smart mobility system, such as GNSS and INS. Through hands-on exercises related to the core operating principles of the sensor systems, students will enhance their understanding.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에서는 대표적인 센서들의 특성과 원리에 대해 이해하고, 스마트모빌리티에 활용되는 다양한 센서시스템(GNSS, INS 등)의 동작 원리를 배운다. 센서 시스템의 핵심적 동작 원리에 관련된 데이터 처리 실습을 통해 이해도를 높인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representative sensors and learn about the operating principles of various sensor systems used in smart mobility system, such as GNSS and INS. Through hands-on exercises related to the core operating principles of the sensor systems, students will enhance their understanding.

닫기
4/1학기 전선 4145027
벤처·융합캡스톤디자인2 (Venture·Integrated Capstone Design2)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27
  • 교과목명 : 벤처·융합캡스톤디자인2 (Venture·Integrated Capstone Design2)
  • 학점-강의-실습(설계) : 3-0-0-(3)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기초설계 및 재료설계 1, 2를 통하여 경험한 설계능력을 기반으로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종합설계 능력의 배양을 목표로 한다. 이와 더불어 설계 주제를 기반으로 한 창업에 대한 기초지식 및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Students can enhance the ability of creative and integrated material design activities. Capstone design includes lab-based design problems, feasibility and impact analysis, complete design process, consideration of alternative solutions, and cost estimation and scheduling. Students also experience team effort on lab-based activities, development of a system, communication skills, and presentations. The course would provide some guides on venture foundation.

    닫기
3 0 0 (3)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은 기초설계 및 재료설계 1, 2를 통하여 경험한 설계능력을 기반으로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종합설계 능력의 배양을 목표로 한다. 이와 더불어 설계 주제를 기반으로 한 창업에 대한 기초지식 및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 English

    Students can enhance the ability of creative and integrated material design activities. Capstone design includes lab-based design problems, feasibility and impact analysis, complete design process, consideration of alternative solutions, and cost estimation and scheduling. Students also experience team effort on lab-based activities, development of a system, communication skills, and presentations. The course would provide some guides on venture foundation.

닫기
4/1학기 전선 4145033
공학소프트웨어응용 (Engineering Software Application)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33
  • 교과목명 : 공학소프트웨어응용 (Engineering Software Applica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0-(1)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공학 및 자연과학용 해석/계산 도구인 매틀랩의 기초 활용 기술을 학습하여, 타 전공수업뿐만 아니라 졸업 후 산업현장이나 연구개발 업무에서 만나게 될 여러 가지 공학적 문제들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매틀랩 환경 이해, 기본 연산자와 내장함수 활용, 스크립트 파일 프로그래밍, 데이터의 시각적 표현, 수치해석 등의 내용을 다루며, 매틀랩의 다양한 기능을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과제수행 중심으로 교과목을 운영한다.

    • English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the basic application skills of Matlab, an analytical and computational tool for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s, and helps them develop the ability to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solve various engineering problems that will be encountered not only in other major classes but also in industrial fields or R&D work in the future. Understanding of the Matlab environment, application of the basic operators and built-in functions, script file programming, visual representation of data, and numerical analysis are introduced in this course. Project-based learning will be adopted for each subject so that students can practically use various functions of Matlab.

    닫기
3 2 0 (1) 상세보기
  • 국문

    공학 및 자연과학용 해석/계산 도구인 매틀랩의 기초 활용 기술을 학습하여, 타 전공수업뿐만 아니라 졸업 후 산업현장이나 연구개발 업무에서 만나게 될 여러 가지 공학적 문제들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매틀랩 환경 이해, 기본 연산자와 내장함수 활용, 스크립트 파일 프로그래밍, 데이터의 시각적 표현, 수치해석 등의 내용을 다루며, 매틀랩의 다양한 기능을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과제수행 중심으로 교과목을 운영한다.

  • English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the basic application skills of Matlab, an analytical and computational tool for engineering and natural sciences, and helps them develop the ability to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solve various engineering problems that will be encountered not only in other major classes but also in industrial fields or R&D work in the future. Understanding of the Matlab environment, application of the basic operators and built-in functions, script file programming, visual representation of data, and numerical analysis are introduced in this course. Project-based learning will be adopted for each subject so that students can practically use various functions of Matlab.

닫기
4/1학기 전선 4145039
수송기계 (Transportation System)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39
  • 교과목명 : 수송기계 (Transportation System)
  • 학점-강의-실습(설계) : 3-2-0-(1)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차량의 기본적인 운동성능인 가속 및 제동성, 승차감, 조종 안정성과 관련되는 기초 이론을 습득하고, 차량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동장치, 현가장치 ,제동장치 ,타이어 등의 특성을 배운다 . 차량 운동 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수학적인 모델링 및 해석 방법을 배워서 섀시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능력을 양성한다 .

    • English

      This course covers basic theories related to acceleration, braking, ride comfort, and steering stability, which are the basic motor performa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e, suspension, brake, and tire that affect the movement of the vehicle. Students develop mathematical modeling and analysis methods for predicting vehicle motion characteristics to develop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chassis systems.

    닫기
3 2 0 (1) 상세보기
  • 국문

    차량의 기본적인 운동성능인 가속 및 제동성, 승차감, 조종 안정성과 관련되는 기초 이론을 습득하고, 차량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동장치, 현가장치 ,제동장치 ,타이어 등의 특성을 배운다 . 차량 운동 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수학적인 모델링 및 해석 방법을 배워서 섀시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능력을 양성한다 .

  • English

    This course covers basic theories related to acceleration, braking, ride comfort, and steering stability, which are the basic motor performa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rive, suspension, brake, and tire that affect the movement of the vehicle. Students develop mathematical modeling and analysis methods for predicting vehicle motion characteristics to develop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chassis systems.

닫기
4/1학기 전선 4145050
Bio-MEMS개론 (Introduction to Bio-MEMS)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50
  • 교과목명 : Bio-MEMS개론 (Introduction to Bio-MEM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바이오분야에 대한 MEMS 가공기술의 유용성을 작은 크기에서 발생하는 물리현상을 스케일 법칙을 통해 학습하고, 동물, 곤충, 식물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감각기관에 대해 시청각자료를 통해 학습한다. 이 후 바이오와 마이크로가공기술의 융합기술인 생체모방공학, 바이오칩, 의료진단시스템 등 신산업군을 대표하는 응용분야에 대해 이해능력을 배양한다. 신재료, 마이크로설계/가공기술을, 바이오칩/인공장기 설계, 해석등에 관하여 공부하고 In-vitro시험 등 바이오특성 시험기술에 관해서도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마이크로 바이오시스템의 통합설계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BT-NT융합기술을 가진 엔지니어 육성의 기반을 구축한다.

    • English

      Learning about usefulness of MEMS technology in biomedical application through microscale physics, and sensory systems in living things. Also learn the convergence technology of biology and micromachining technology such ans biomimetics, biochips, medical diagnostic devices. Learn the basics of BT-NT convergence technology by acquiring the integration design skills of micro-biosystem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바이오분야에 대한 MEMS 가공기술의 유용성을 작은 크기에서 발생하는 물리현상을 스케일 법칙을 통해 학습하고, 동물, 곤충, 식물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감각기관에 대해 시청각자료를 통해 학습한다. 이 후 바이오와 마이크로가공기술의 융합기술인 생체모방공학, 바이오칩, 의료진단시스템 등 신산업군을 대표하는 응용분야에 대해 이해능력을 배양한다. 신재료, 마이크로설계/가공기술을, 바이오칩/인공장기 설계, 해석등에 관하여 공부하고 In-vitro시험 등 바이오특성 시험기술에 관해서도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마이크로 바이오시스템의 통합설계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BT-NT융합기술을 가진 엔지니어 육성의 기반을 구축한다.

  • English

    Learning about usefulness of MEMS technology in biomedical application through microscale physics, and sensory systems in living things. Also learn the convergence technology of biology and micromachining technology such ans biomimetics, biochips, medical diagnostic devices. Learn the basics of BT-NT convergence technology by acquiring the integration design skills of micro-biosystems.

닫기
4/1학기 전선 4145053
적응형요소기술 (Adaptive Component Technology)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53
  • 교과목명 : 적응형요소기술 (Adaptive Component Technology)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동력전송요소설계를 학습한 학생들에게 본격적인 적응형 서보 메커니즘의 설계원리와 핵심 구성요소들을 교육하기 위한 교과목이다. 선수과목을 통해서 서보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수동소자들을 학습하였고, 본 교과목을 통해서 피드백 루프를 구성하는 핵심요소인 다양한 형태의 작동기와 센서에 대해서 학습하며, 서보회로 설계와 디지털 제어기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특히, 공장 자동화에 자주 사용되는 공압시스템 및 반도체 장치산업에 널리 사용되는 진공시스템의 회로설계 원리와 다양한 공압 및 진공 요소들의 작동특성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 English

      The design rules for adaptive servo mechanism and core elements are introduced in this class. Various actuators and sensors for constructing the feedback loop including pneumatic and vacuum elements are also introduced. Students can learn the practical design rules for the servo mechanism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동력전송요소설계를 학습한 학생들에게 본격적인 적응형 서보 메커니즘의 설계원리와 핵심 구성요소들을 교육하기 위한 교과목이다. 선수과목을 통해서 서보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수동소자들을 학습하였고, 본 교과목을 통해서 피드백 루프를 구성하는 핵심요소인 다양한 형태의 작동기와 센서에 대해서 학습하며, 서보회로 설계와 디지털 제어기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특히, 공장 자동화에 자주 사용되는 공압시스템 및 반도체 장치산업에 널리 사용되는 진공시스템의 회로설계 원리와 다양한 공압 및 진공 요소들의 작동특성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 English

    The design rules for adaptive servo mechanism and core elements are introduced in this class. Various actuators and sensors for constructing the feedback loop including pneumatic and vacuum elements are also introduced. Students can learn the practical design rules for the servo mechanisms.

닫기
4/1학기 전선 4145063
반도체장비의이해 (Understanding of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s)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63
  • 교과목명 : 반도체장비의이해 (Understanding of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반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광학식 노광기술은 투명한 마스크에 그려진 패턴위로 광선을 투과시켜서 웨이퍼에 패턴을 전사하는 노광(lithography) 기술을 기반으로 두고 있다. 본 과목을 통해서 현대적인 포토마스크의 작동원리, 제작방법 및 공정, 임계치수 계측, 마스크 검사와 차세대 리소그래피 기술 등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인 포토마스크 기술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다. 본 교과목을 통해서 반도체 산업분야의 기반기술을 익힘으로서 반도체 산업분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 English

      The lithography is based on the optical patterning technology which the mask pattern is transferred on the wafer. This class, the basic theory for the photomask including design, manufacturing and inspection. Furtheremore, next generation lithography technologies including EUVL are introduced. Students can prepare the future carrier exploration for the semiconductor industri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반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광학식 노광기술은 투명한 마스크에 그려진 패턴위로 광선을 투과시켜서 웨이퍼에 패턴을 전사하는 노광(lithography) 기술을 기반으로 두고 있다. 본 과목을 통해서 현대적인 포토마스크의 작동원리, 제작방법 및 공정, 임계치수 계측, 마스크 검사와 차세대 리소그래피 기술 등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인 포토마스크 기술에 대해서 살펴볼 수 있다. 본 교과목을 통해서 반도체 산업분야의 기반기술을 익힘으로서 반도체 산업분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 English

    The lithography is based on the optical patterning technology which the mask pattern is transferred on the wafer. This class, the basic theory for the photomask including design, manufacturing and inspection. Furtheremore, next generation lithography technologies including EUVL are introduced. Students can prepare the future carrier exploration for the semiconductor industries.

닫기
4/1학기 전선 4145066
수차및펌프수차 (Hydro-turbine and pump-turbine)
  • 학년/학기 : 4/1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66
  • 교과목명 : 수차및펌프수차 (Hydro-turbine and pump-turbine)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최근 국내에서는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신재생에너지의 연구개발에 대한 사업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수력발전설비에 대해서는 대용량 재생에너지 저장시스템으로서 신규 양수발전소의 개발이 진행 중이다. 또한 기존의 외국산 수력발전설비에 대한 현대화사업의 일환으로 수력발전기의 국산화를 위한 연구개발 역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해당 교과에서는 수차 및 펌프수차의 핵심이 되는 기본이론을 학습한다. 발전소 개요, 수차의 종류, 수력 에너지 변환, 수차의 특성 등 기본적인 원리를 학습하고 필요한 경우, 발전소 환경 등 전문적인 연구 결과 데이터를 학습한다.

    • English

      Recently, for the preparation for climate change, R&D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in Kore..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a new pumped-water power plant as a large-capacity renewable energy storage system for hydroelectric power plants is in progress. In addition, as part of the modernization project for the existing foreign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R&D for localization of hydroelectric power generators is also being actively carried out. However, recognizing the problem that many students, including engineers have very limited access to the reference materials necessary for education and training. Hydro-turbine and Pump-tubine: Basic Theory is a course for beginners of hydro-turbine and pump aberration, focusing on the basic principles of turbine and pump. If necessary, data from professional research results such as power plant environment will be use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최근 국내에서는 기후변화에 대비하여 신재생에너지의 연구개발에 대한 사업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수력발전설비에 대해서는 대용량 재생에너지 저장시스템으로서 신규 양수발전소의 개발이 진행 중이다. 또한 기존의 외국산 수력발전설비에 대한 현대화사업의 일환으로 수력발전기의 국산화를 위한 연구개발 역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해당 교과에서는 수차 및 펌프수차의 핵심이 되는 기본이론을 학습한다. 발전소 개요, 수차의 종류, 수력 에너지 변환, 수차의 특성 등 기본적인 원리를 학습하고 필요한 경우, 발전소 환경 등 전문적인 연구 결과 데이터를 학습한다.

  • English

    Recently, for the preparation for climate change, R&D of new and renewable energy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in Kore..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a new pumped-water power plant as a large-capacity renewable energy storage system for hydroelectric power plants is in progress. In addition, as part of the modernization project for the existing foreign hydroelectr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R&D for localization of hydroelectric power generators is also being actively carried out. However, recognizing the problem that many students, including engineers have very limited access to the reference materials necessary for education and training. Hydro-turbine and Pump-tubine: Basic Theory is a course for beginners of hydro-turbine and pump aberration, focusing on the basic principles of turbine and pump. If necessary, data from professional research results such as power plant environment will be used.

닫기
4/2학기 전선 4145036
전산유체역학및설계 (Computational Fluid Mechanics and Design)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36
  • 교과목명 : 전산유체역학및설계 (Computational Fluid Mechanics and Desig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1-0-(2)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전산유체역학은 유체유동, 열전달, 혹은 이와 관련된 현상을 컴퓨터를 기반으로 해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교과는 전산유체역학의 기본 이론을 학습하고 Ansys Fluent를 이용한 실습에 목표를 둔다.

    • English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eans computer-based analysis of fluid flow, heat transfer, or related phenomena. This course aims to study the basic theory of computational fluid mechanics and to practice using Ansys Fluent.

    닫기
3 1 0 (2) 상세보기
  • 국문

    전산유체역학은 유체유동, 열전달, 혹은 이와 관련된 현상을 컴퓨터를 기반으로 해석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교과는 전산유체역학의 기본 이론을 학습하고 Ansys Fluent를 이용한 실습에 목표를 둔다.

  • English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eans computer-based analysis of fluid flow, heat transfer, or related phenomena. This course aims to study the basic theory of computational fluid mechanics and to practice using Ansys Fluent.

닫기
4/2학기 전선 4145037
재활공학 (Introduction to Rehabilitation Engineering)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37
  • 교과목명 : 재활공학 (Introduction to Rehabilitation Engineering)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기계공학의 기초지식이 현대의료기기 산업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재활공학의 현재 위치 와 향후 나아갈 방향, 그리고 산업체에서의 주요 관심사항, 산업현장에 맞는 자기자신의 가치 및 능력개발을 소개함으로써 산업 및 현장에 대한 이해와 적응력을 고양시킨다.

    • English

      Through case studies on how the basic knowledge of mechanical engineering is applied to the modern medical device industry, the current position and future direction of rehabilitation engineering, major interests in the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one's own values and capabilities for the industrial site Introduce students to understand and adapt to industry and the fiel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기계공학의 기초지식이 현대의료기기 산업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재활공학의 현재 위치 와 향후 나아갈 방향, 그리고 산업체에서의 주요 관심사항, 산업현장에 맞는 자기자신의 가치 및 능력개발을 소개함으로써 산업 및 현장에 대한 이해와 적응력을 고양시킨다.

  • English

    Through case studies on how the basic knowledge of mechanical engineering is applied to the modern medical device industry, the current position and future direction of rehabilitation engineering, major interests in the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one's own values and capabilities for the industrial site Introduce students to understand and adapt to industry and the field.

닫기
4/2학기 전선 4145054
풍력터빈공기역학 (Wind Turbine Aerodynamics)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54
  • 교과목명 : 풍력터빈공기역학 (Wind Turbine Aerodynam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에서는 대형 풍력터빈에 적용되는 수평축 양력식 풍력터빈 로터의 공기역학적인 설계방법을 학습한다. 세부적으로는 풍력터빈 블레이드 설계에 필요한 기본적인 공기역학적 지식, 날개요소 운동량 이론에 기반한 이론적 해석,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이용한 블레이드 공력설계 등에 대해 학습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st learn how to aerodynamically design blades of horizontal-axis lift-type wind turbines. Students specifically learn basic aerodynamics, blade element momentum theory, and aerodynamic blade design method using freeware program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본 과목에서는 대형 풍력터빈에 적용되는 수평축 양력식 풍력터빈 로터의 공기역학적인 설계방법을 학습한다. 세부적으로는 풍력터빈 블레이드 설계에 필요한 기본적인 공기역학적 지식, 날개요소 운동량 이론에 기반한 이론적 해석,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이용한 블레이드 공력설계 등에 대해 학습한다.

  • English

    In this course, studenst learn how to aerodynamically design blades of horizontal-axis lift-type wind turbines. Students specifically learn basic aerodynamics, blade element momentum theory, and aerodynamic blade design method using freeware programs.

닫기
4/2학기 전선 4145061
영상인식개론 (Introduction to Image Recognition)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61
  • 교과목명 : 영상인식개론 (Introduction to Image Recognition)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디지털 장치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원하는 목적에 맞게 조작하는 방법을 습득하게 한다. 영상 개선, 영상 복원, 영상 압축, 영상 분석 등 영상 처리에 대한 기초 이론에 초점을 맞춰 강의하고, 영상처리 프로그램 작성에 필요한 기본적인 MATLAB 활용 방법을 제시한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lecture is to cover the basic technologies and issues which are widely used in image processing. Students learn about what image processing is and how it works: especially image sampling and quantization, color, point operations, segmentation, morphological processing, linear image filtering and correlation, and image transforms.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develop experience with using computers and Matlab to process image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디지털 장치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원하는 목적에 맞게 조작하는 방법을 습득하게 한다. 영상 개선, 영상 복원, 영상 압축, 영상 분석 등 영상 처리에 대한 기초 이론에 초점을 맞춰 강의하고, 영상처리 프로그램 작성에 필요한 기본적인 MATLAB 활용 방법을 제시한다.

  • English

    The objective of this lecture is to cover the basic technologies and issues which are widely used in image processing. Students learn about what image processing is and how it works: especially image sampling and quantization, color, point operations, segmentation, morphological processing, linear image filtering and correlation, and image transforms.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develop experience with using computers and Matlab to process images.

닫기
4/2학기 전선 4145064
심자외선노광기설계 (Design of DUV Lithography Tools)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64
  • 교과목명 : 심자외선노광기설계 (Design of DUV Lithography Tool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ASML NXT 계열의 심자외선 노광기를 구성하는 기계, 전자, 광학, 작동기 및 계측 시스템에 대한 설계 및 해석기법에 대한 최신 기술의 고찰을 통해서 초정밀 웨이퍼 스캐너와 광학 시스템을 포함한 심자외선 노광기 시스템의 설계원리를 고찰한다.

    • English

      Through a review of the latest technology in design and analysis techniques for the mechanical, electronic, optical, actuator, and measurement systems that make up the ASML NXT series deep ultraviolet lithography tools, the design principles of the deep ultraviolet lithography tools, including the ultra-precision wafer scanner and optical system, are explained.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ASML NXT 계열의 심자외선 노광기를 구성하는 기계, 전자, 광학, 작동기 및 계측 시스템에 대한 설계 및 해석기법에 대한 최신 기술의 고찰을 통해서 초정밀 웨이퍼 스캐너와 광학 시스템을 포함한 심자외선 노광기 시스템의 설계원리를 고찰한다.

  • English

    Through a review of the latest technology in design and analysis techniques for the mechanical, electronic, optical, actuator, and measurement systems that make up the ASML NXT series deep ultraviolet lithography tools, the design principles of the deep ultraviolet lithography tools, including the ultra-precision wafer scanner and optical system, are explained.

닫기
4/2학기 전선 4145065
바이오메카트로닉스개론 (Introduction to BioMechatronics)
  • 학년/학기 : 4/2학기
  • 이수구분 : 전선
  • 교과목번호 : 4145065
  • 교과목명 : 바이오메카트로닉스개론 (Introduction to BioMechatronics)
  • 학점-강의-실습(설계) : 3-3-0
  • 교과목개요 : 상세보기
    • 국문

      ‘바이오메카트로닉스개론‘은 기계공학, 전자공학, 생체공학이 융합된 ‘바이오메카트로닉스’의 기본 개념과 응용을 소개하는 입문 과정으로, 본 교과목에서는 인체와 기계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 원리를 이해하고, 휴먼-머신 인터페이스, 재활로봇, 의수/의족, 바이오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실제 응용 사례를 학습함. 또한, 바이오메카트로닉스 시스템 설계를 위한 기초 이론과 실습을 제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신체 기능 복원 및 증강을 위한 기계공학 기반의 기술적 솔루션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함.

    • English

      ‘Introduction to Biomechatronics’ is an introductory course that explores the fundamental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Biomechatronics’, an interdisciplinary field combining mechanical engineering, electrical engineering, and bioengineering. The course cover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human body and machine systems, focusing on human-machine interfaces, rehabilitation robots, prosthetics, biosensors, and wearable devices through real-world applications. Students will also learn the basics of biomechatronic system design through theory and hands-on practice, aiming to develop engineering solutions for restoring and enhancing human physical functions.

    닫기
3 3 0 상세보기
  • 국문

    ‘바이오메카트로닉스개론‘은 기계공학, 전자공학, 생체공학이 융합된 ‘바이오메카트로닉스’의 기본 개념과 응용을 소개하는 입문 과정으로, 본 교과목에서는 인체와 기계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 원리를 이해하고, 휴먼-머신 인터페이스, 재활로봇, 의수/의족, 바이오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실제 응용 사례를 학습함. 또한, 바이오메카트로닉스 시스템 설계를 위한 기초 이론과 실습을 제공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신체 기능 복원 및 증강을 위한 기계공학 기반의 기술적 솔루션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함.

  • English

    ‘Introduction to Biomechatronics’ is an introductory course that explores the fundamental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Biomechatronics’, an interdisciplinary field combining mechanical engineering, electrical engineering, and bioengineering. The course cover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human body and machine systems, focusing on human-machine interfaces, rehabilitation robots, prosthetics, biosensors, and wearable devices through real-world applications. Students will also learn the basics of biomechatronic system design through theory and hands-on practice, aiming to develop engineering solutions for restoring and enhancing human physical functions.

닫기
  • 국문

  • English

닫기